상장폐지된 코인, 보관 및 이동 방법

상장폐지된 코인, 어디에 보관하고 어떻게 이동해야 할까요? 안전하게 자산을 지키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지갑 이동법 확인하시려면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1. 왜 거래소에 계속 두면 위험할까?

상장폐지 일정이 발표되면, 대부분 거래소는 일정 기간 후 출금 기능도 종료합니다. 즉, 출금 기한이 지나면 해당 거래소에서는 코인 인출이 불가능해지는 것이죠.

또한, 상장폐지된 코인은 유동성이 급감하고, 거래 자체가 어려워져 가격 폭락 위험도 커집니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외부 지갑으로 이동하는 것이 필수예요.

2. 어디로 옮기는 게 안전할까? (코인별 구분)

코인을 옮길 수 있는 대표적인 경로는 아래 3가지입니다.

  • ① 자체 지원 지갑 (공식 지갑)
    - 예: 이더리움 기반 → 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 장점: 보안성 우수, 직접 관리
    - 단점: 복구키 분실 시 자산 영구 손실
  • ② 다른 글로벌 거래소
    - 예: 바이낸스, 쿠코인 등 아직 상장 유지 중인 곳
    - 장점: 거래 유동성 확보
    - 단점: 해당 거래소도 향후 상장폐지 가능성 존재
  • ③ 하드웨어 지갑
    - 예: Ledger, Trezor
    - 장점: 오프라인 보관으로 해킹 위험 최소화
    - 단점: 초기 비용 부담, 사용법이 생소할 수 있음

3. 지갑으로 안전하게 옮기는 방법 (Step-by-Step)

  1. 지원 지갑 설치 (예: 메타마스크 앱 or 크롬 확장)
  2. 지갑 주소 확인 (받기 → 0x로 시작하는 주소 복사)
  3. 거래소에서 출금 신청 (네트워크 선택: Ethereum 등)
  4. 주소 붙여넣고 수량 입력 후 출금
  5. 지갑에서 입금 확인 (Etherscan 등에서 확인 가능)

4. 이동 후에도 잊지 마세요! (보안 체크리스트)

  • ✅ 시드 구문(복구키) 오프라인 보관
  • ✅ 지갑 앱 최신 버전 유지
  • ✅ 이메일, 2FA 등 계정 보안 강화
  • ✅ 가짜 지갑/피싱 사이트 주의

✅ 마무리 요약

구분설명
이동 이유상장폐지 후 출금 종료되면 자산 인출 불가
추천 지갑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 Ledger 등
주의사항복구키 보관 + 보안 점검 필수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빠른 대응이 가장 큰 자산 보호 전략입니다. 상장폐지된 코인은 방치하지 말고, 꼭 안전한 지갑으로 사전에 이동해두세요!

무한이슈

여러분에게 매일 핫이슈를 전달드리겠습니다.

다음 이전